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홍콩은, 무료 항공권까지 나눠주면서 관광객 유치하느라 바쁘죠.<br> <br>막상 가보면 '그동안 알던 홍콩 맞나'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'중국화'가 많이 이뤄졌는데요.<br> <br>세계를 가다, 공태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코로나 해제 이후 국경을 걸어 잠갔던 홍콩이 정상화됐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지금의 홍콩은 국가보안법과 제로코로나를 거치며 많은 부분이 바뀌었는데요. <br> <br>보다 대담하고 치밀하게 중국화가 되고 있는 홍콩의 모습을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홍콩의 새로운 명소로 떠오른 서구룡문화지구의 고궁박물관. <br> <br>지난해 7월 개관한 7층짜리 황금색 건물로, 빨간 문이 자금성을 연상시킵니다. <br> <br>내부에는 자금성 유물 900여 점이 전시돼 있고, 홍콩어나 영어가 아닌 중국 본토에서 쓰는 표준 중국어로 안내합니다. <br> <br>[박물관 안내원(표준 중국어)] <br>"입장권 있나요? " <br> <br>홍콩이 중국 본토와 문화적 동질성을 갖고 귀속감을 높이려는 의도로 세웠단 평가가 나옵니다 <br> <br>[현장음] <br>"당신이 있는 이 곳에 세계를 내다보고 중화 문화를 전승하는 현대화 박물관이 세워졌습니다." <br><br>침사추이의 대형 서점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어록집이 판매 중이고, 홍콩 일국양제 관련 발언 모음집과 공산당 서적들도 매대를 꽉 채울 정도로 많습니다. <br> <br>어학 코너에는 중국 표준어 학습지가 중앙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중국과 홍콩을 연결하는 고속철에서는 중국인 관광객이 매일 쏟아져 들어오고, 도로에는 중국과 홍콩을 편리하게 왕래할 수 있도록 양쪽 번호판을 모두 단 차량이 쉽게 눈에 띕니다.<br> <br>홍콩에서 30년을 산 교민은 최근 외국인보다 중국인들이 더 많이 유입되는 걸 실감합니다. <br> <br>[홍콩 현지 교민] <br>"(식당) 손님의 50% 정도는 중국 본토에서 오신 분. (중국화) 체감하죠. 관공서를 가도 중국 표준어를 하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영어를 하는 사람이 줄어들고." <br> <br>영어 질문에, 중국 표준어가 더 편하다며 표준어로 답하는 홍콩 시민도 있습니다. <br> <br>[앤 / 홍콩 시민(표준어)] <br>"(홍콩의 중국화를 느끼나요?) 확실히 느끼죠. 볼 수 있는 뉴스도 별로 없고 기사도 풍부하지 않아요." <br> <br>대만과 홍콩을 비교하기도 합니다. <br> <br>[택시기사/ 홍콩시민] <br>"시진핑 주석이 원하는 건 대만이 중국에 속하는 거죠. 하지만 그들은 자유를 원하지 중국에 속하길 원치 않아요. 중국에 속하면 홍콩처럼 자유로울 수 없죠. " <br> <br>집회와 표현의 자유는 2020년 국가보안법이 통과된 이후 크게 위축됐습니다. <br> <br>지난 30여 년 간 매년 6월 4일 중국 톈안먼 민주화 시위 희생자를 추모하던 촛불집회 장소는 코로나19 봉쇄 정책이 끝난 후에도 막혀 있습니다. <br><br>매년 시위 추모집회가 벌어졌던 이 공원은 올해는 이렇게 빨간 가림막이 처져있는 상태로 공원 절반 가량이 보수공사가 한창입니다. <br> <br>봉쇄 이유는 잔디 보호와 보수 공사, 친중단체의 쇼핑행사 개최 등입니다. <br> <br>톈안먼 민주화 시위 희생자 추모 조각상도 당국이 압수했습니다. <br> <br>선출직을 줄이고 정부 임명직을 늘린 구의회 선거제도 개편을 비판한 홍콩명보의 시사만평은 지난 14일 갑작스레 종료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홍콩에서 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><br /><br /><br />공태현 기자 ball@ichannela.com